처음 스마트폰을 접하는 어르신들께는 낯설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. 버튼이 사라진 휴대폰, 화면을 ‘터치’해서 조작하는 방식은 기존의 폴더폰과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 요즘은 병원 예약, 은행 업무, 가족 소통까지 스마트폰 하나로 다 해결하는 시대입니다. 그래서 오늘은 스마트폰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우고 싶은 분들을 위해, 고령자 맞춤 스마트폰 사용법을 아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1. 스마트폰의 기본 구성 이해하기
스마트폰은 크게 3가지 화면으로 나뉩니다.
- 홈 화면: 앱 아이콘이 모여 있는 첫 화면
- 앱 서랍: 설치된 모든 앱이 보이는 곳 (화면 아래 ↑ 화살표 아이콘)
- 상단 알림창: 시간, 문자, 알림 등이 모이는 창 (화면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면 열림)
스마트폰은 손가락으로 터치(누르기), 길게 누르기, 밀기(스와이프) 등 다양한 동작으로 조작합니다.
2. 전원 켜고 끄기, 화면 잠금 해제
- 전원 켜기: 옆면의 길쭉한 버튼(전원 버튼) 2~3초 누르기
- 전원 끄기: 전원 버튼을 길게 누른 후 화면에 나오는 "전원 끄기" 선택
- 잠금 해제: 화면을 위로 밀거나, 비밀번호/지문/얼굴 인식
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짧게 전원 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켜지고, 위로 밀면 홈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.
3. 앱(App) 실행하고 종료하기
앱이란 휴대폰 안의 기능 아이콘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.
- 전화 앱 – 전화 걸기, 받기
- 카카오톡 – 가족과 문자·사진 주고받기
- 카메라 앱 – 사진·영상 촬영
- 인터넷 – 날씨, 뉴스 검색
앱 실행: 홈 화면 또는 앱 서랍에서 앱 아이콘을 '한 번 짧게 터치'
앱 종료: 하단의 ▢(네모) 버튼 → 사용 중인 앱 목록 확인 → 위로 밀어 종료
4. 전화 걸기 & 받기
📞 전화 걸기
- 홈 화면에서 전화 앱(수화기 모양) 터치
- 숫자판이 나오면, 번호를 입력한 뒤 '녹색 수화기' 버튼 터치
📲 전화 받기
- 전화가 오면 화면에 초록색 수화기 아이콘이 나옵니다.
- 그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위로 밀면 통화 연결!
5. 자주 쓰는 기능 한눈에 보기
- 플래시: 손전등 기능, 알림창에서 켜기/끄기
- 카메라: 사진 찍고 저장하는 앱 (기록, 추억 남기기)
- 알람: 기상 시간, 약 먹는 시간 등 알림 설정
- 문자: 기본 메시지 앱으로 글을 주고받기
6. 고령자에게 꼭 맞는 설정 바꾸기
화면이 작고 글씨가 잘 안 보인다면, 아래 기능을 활용해보세요.
- 글씨 크기 조절: 설정 → 디스플레이 → 글자 크기/화면 배율
- 간편 모드 설정: 설정 → 디스플레이 또는 홈 설정 → ‘간편 모드’ 켜기
- 벨소리 크기 조절: 설정 → 소리 → 벨소리/진동 설정
‘간편 모드’를 켜면 큰 글씨, 간단한 화면으로 바뀌어 어르신들이 훨씬 편하게 쓸 수 있습니다.
7. 자녀가 알려드리면 좋은 팁
부모님 스마트폰 교육할 때는 아래 3가지만 기억하세요.
- 한 번에 여러 개 가르치지 않기
- 단계별로 직접 ‘터치’하면서 익히게 하기
- 자주 쓰는 기능만 모아서 홈 화면에 정리해드리기
📌 참고: 삼성 갤럭시 → ‘간편모드’ / LG폰 → ‘이지홈’ 등 고령자 전용 모드 탑재
마무리하며
처음엔 어려워 보이지만, 한두 번만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. 스마트폰은 단순히 기계가 아니라 가족과 연결되는 창구이기도 하니까요. 오늘 알려드린 기초 사용법을 차근차근 연습해보시고, 다음 글에서는 사진 찍기, 문자 보내기 등 실전 활용법도 함께 배워볼게요 😊
스마트폰, 어르신도 충분히 잘 쓰실 수 있습니다! 응원합니다 💪
'알고가는 정부지원 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년기 우울증 예방법과 상담 지원 제도 안내 (0) | 2025.04.19 |
---|---|
고령자를 위한 건강검진 항목과 주의사항 (2025년 최신 가이드) (0) | 2025.04.19 |
고령자를 위한 영상통화 쉽게 하는 법 (카카오톡/전화) (0) | 2025.04.19 |
터치가 어려운 어르신을 위한 ‘간편 모드’ 설정법 (0) | 2025.04.19 |
고령자를 위한 실전 스마트폰 활용법 (0) | 2025.04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