멀리 떨어져 사는 가족과 얼굴을 보며 이야기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? 요즘은 스마트폰 영상통화 기능을 통해 자녀, 손주, 지인과 얼굴을 마주보며 대화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어르신도 어렵지 않게 따라 하실 수 있도록, 영상통화 방법을 아주 쉽게 단계별로 설명해드릴게요. 두 가지 방법을 알려드립니다: ① 기본 전화 앱 이용 / ② 카카오톡 이용
1. 전화 앱으로 영상통화하는 방법
휴대폰 기본 전화 앱에도 영상통화 기능이 있습니다. 다만, 상대방도 같은 통신사(예: KT, SKT, LG U+)여야 가능하고, 영상통화 요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.
📞 전화 앱 영상통화 방법
- 홈 화면에서 ‘전화’ 아이콘(수화기)을 터치
- 연락처에서 자녀 이름 또는 번호를 선택
- ‘영상통화’ 또는 ‘카메라 모양 아이콘’을 누르면 바로 연결
※ 일부 휴대폰은 통신사에 따라 영상통화가 지원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
2. 카카오톡 영상통화 방법 (가장 추천!)
카카오톡 영상통화는 무료이며, 인터넷(Wi-Fi 또는 데이터)만 있으면 누구나 쓸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음성보다 화질이 더 좋고 안정적이에요.
📱 카카오톡으로 영상통화 거는 법
- 홈 화면에서 카카오톡 아이콘(노란색 말풍선)을 터치
- 하단 메뉴 중 ‘친구’ 탭을 누릅니다
- 영상통화하고 싶은 자녀/지인 이름을 찾아 터치
- 상단에 있는 전화기 모양 아이콘 선택
- ‘영상통화’ 버튼을 눌러 통화 시작!
📌 상대방이 수락하면 바로 화면이 연결되며 얼굴이 보이게 됩니다.
3. 영상통화 중 화면 조작 방법
통화 중 화면을 움직이거나 소리를 조절하고 싶다면 아래 기능을 활용해보세요.
- 작은 창으로 전환: 휴대폰을 다른 용도로도 사용 가능
- 음소거: 마이크 끄기/켜기 (조용히 하고 싶을 때)
- 카메라 전환: 전면/후면 카메라 바꾸기 (풍경 보여주기)
- 종료 버튼: 통화 끝낼 때는 화면 아래 빨간 버튼 터치
4. 자주 묻는 질문 (Q&A)
Q. 영상통화 요금이 따로 있나요?
→ 전화 앱 영상통화는 일부 요금제에서 요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. 카카오톡 영상통화는 무료입니다.
Q. 상대방 얼굴이 안 보여요.
→ 전면 카메라가 꺼져 있거나, 상대방이 카메라 허용을 하지 않은 경우일 수 있어요.
Q. Wi-Fi가 없어도 되나요?
→ Wi-Fi가 없어도 데이터로 가능하지만, 데이터 소모량이 많을 수 있어 Wi-Fi 환경을 추천드립니다.
5. 영상통화 팁: 어르신 맞춤 설정
- 카카오톡 아이콘을 홈 화면 가장 앞에 배치
- 자주 통화하는 사람을 즐겨찾기 등록 해두면 찾기 쉬움
- 실수 방지를 위해 폰을 거치대에 올려두고 통화
마무리하며
자녀와 손주를 자주 보고 싶을 때, 문자보다 영상통화가 훨씬 따뜻하게 느껴지죠. 익숙하지 않더라도 오늘 소개해드린 방법으로 한두 번 시도해보시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어요.
디지털이 낯설어도 괜찮습니다. 조금씩 익히면, 더 넓은 세상이 펼쳐집니다 😊
다음 글에서는 ‘자녀와 쉽게 연락하는 방법’을 소개해드릴게요. 문자, 카카오톡, 전화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!
'알고가는 정부지원 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년기 우울증 예방법과 상담 지원 제도 안내 (0) | 2025.04.19 |
---|---|
고령자를 위한 건강검진 항목과 주의사항 (2025년 최신 가이드) (0) | 2025.04.19 |
터치가 어려운 어르신을 위한 ‘간편 모드’ 설정법 (0) | 2025.04.19 |
고령자를 위한 실전 스마트폰 활용법 (0) | 2025.04.19 |
고령자를 위한 스마트폰 기초 사용법 총정리 (0) | 2025.04.19 |